본문 바로가기

Study/Algorithm 문제풀이

[SW Expert Academy] 1859. 백만 장자 프로젝트(using python)

728x90
반응형

* 문제의 저작권은 SW Expert에 있습니다.

swexpertacademy.com/main/code/problem/problemDetail.do?contestProbId=AV5LrsUaDxcDFAXc&categoryId=AV5LrsUaDxcDFAXc&categoryType=CODE&problemTitle=%EB%B0%B1%EB%A7%8C&orderBy=FIRST_REG_DATETIME&selectCodeLang=ALL&select-1=&pageSize=10&pageIndex=1

 

SW Expert Academy

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!

swexpertacademy.com

 

[ 문 제 ]

25년 간의 수행 끝에 원재는 미래를 보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. 이 능력으로 원재는 사재기를 하려고 한다.
다만 당국의 감시가 심해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재기 할 수 없다.
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사재기를 하여 최대한의 이득을 얻도록 도와주자.

    1. 원재는 연속된 N일 동안의 물건의 매매가를 예측하여 알고 있다.
    2. 당국의 감시망에 걸리지 않기 위해 하루에 최대 1만큼 구입할 수 있다.
    3. 판매는 얼마든지 할 수 있다.

예를 들어 3일 동안의 매매가가 1, 2, 3 이라면 처음 두 날에 원료를 구매하여 마지막 날에 팔면 3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.

[입력]
첫 번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T가 주어진다.
각 테스트 케이스 별로 첫 줄에는 자연수 N(2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지고,
둘째 줄에는 각 날의 매매가를 나타내는 N개의 자연수들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순서대로 주어진다.
각 날의 매매가는 10,000이하이다.

[출력]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‘#x’(x는 테스트케이스 번호를 의미하며 1부터 시작한다)를 출력하고,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.

[예제 풀이]
1번째 케이스는 아무 것도 사지 않는 것이 최대 이익이다.
2번째 케이스는 1,2일에 각각 한 개씩 사서 세 번째 날에 두 개를 팔면 10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.

 

입력과 출력 예시

[ 전체 코드 ] - Pass!!

for i in range(1, int(input())+1):
    N = int(input())
    target, maximum = N-2, N-1
    ft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    result = 0
     
    for _ in range(maximum):
        temp = ftr[maximum] - ftr[target]
        if temp <= 0:
            target, maximum = target-1, target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result += temp
        target -= 1
    print(f"#{i}",result)

[ Runtime Error 발생 코드 ]

for i in range(1, int(input())+1):
    N = int(input())
    ftr = tuple(map(int, input().split()))
    result = 0 
    while True:
        y = ftr.index(max(ftr))
        if y != 0:
            result += ftr[y]*len(ftr[:y]) - sum(ftr[:y])
        ftr = ftr[y+1:]
        if len(ftr) == 0:
            break
    print(f"#{i}", result)

 

상기 2개의 코드 모두 주어진 입력값을 출력하는데는 문제는 없다. 

 

하지만, Runtime Error가 발생한 코드는 N이 무한정으로 커질 경우 반복적으로 연산을 함으로써 Runtime Error를 발생시킨다.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