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스마트 팜(Smart Farm)
더보기
정보통신기술을 농업에 접목해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자동/원격으로 적정하게 유지/관리 시스템을 갖춘 농장을 말하며, 분야별로는 스마트 온실, 스마트 과수원, 스마트 축사 등이 대표적인 스마트 팜의 예시이다.
등장배경
세대별 스마트 팜 모델
1세대
-. 농가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1세대 스마트 팜은 자동화 및 ICT 기술을 적절히 조합한 모델이다.
-. 1세대 스마트팜을 실제 도입한 농가는 편의성과 생산성 30% 증가하는 큰 효과를 얻었지만 농업인이 직접 환경을 설정하기 때문에 농사 지식은 있지만, ICT에 익숙치 않은 농업인에게 어려움이 있었다.
2세대
-. 2세대 스마트 팜은 인공지능이 빅데이터와 연상 정보로 생육을 진단하여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시스템이다.
-. 농업인의 지식과 경험으로만 알 수 있었던 생육환경 조절과 재배 관리의 노하우를 컴퓨터가 대신하게 되었다.
3세대
참고문헌
1. assets.kpmg/content/dam/kpmg/kr/pdf/2019/kr-im119-smartagriculture-and-valuechain-20191216.pdf
이달의 이슈 농업기술
분석 및 처방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작물의 재배환경과 생체정보를 클라우드의 인공지능시스템이 분석 처방 재배환경 : 기상 정보(풍향, 풍속, 온습도, 일사량, 강우), 지상부 환경(온도, 습도, 이
www.rda.go.kr
728x90
반응형
'project > smartFar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마트팜]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팜 기술 (0) | 2021.05.27 |
---|